복지사회를 위한 준비
복지사회를 위한 준비
  • 한대신문
  • 승인 2013.09.21
  • 호수 139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참된 나눔은 자신이 가진 것을 남을 위해 쓰는 일이다. 필자가 얼마 전 비행기에서 경험한 일화이다. 옆에 앉은 한 승객이 의자 등받이를 뒤로 젖히고자 뒷자리의 승객에게 양해를 구하였다. 하지만 뒷자리의 승객은 불편하다는 이유로 이를 거절했다. 결국 옆자리의 승객은 비행이 끝날 때까지 불편한 자세를 한 채, 자리를 지켜야 했다.

정당한 값을 치르고 항공권을 구매한 승객은 편안한 자리를 누릴 권리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권리는 남을 전혀 배려하지 않는 이들에 의해 무시되곤 한다. 서로서로가 편안한 여행을 위하여 자신의 공간을 조금씩 양보해야 하는 비행기에서 ‘나눔’의 의미를 생각하게 된다.

‘사회복지’는 어느덧 우리 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비록 복지 선진국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기본적인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 확충을 위한 자발적 참여에는 아직 인색하다. 2010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 자료에 의하면, 사회복지를 위해 세금을 늘려야한다는 주장에 일반인 중 4%만이 “매우 동의한다”라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조사 자료를 근거로 일부 정치인들은 ‘증세 없는 복지 확대’를 주장하고 있다.

최근 무상 급식과 무상 보육 정책의 재원 부족 문제는 우리사회의 복지 현실을 여실히 드러낸다. 지방 정부와 중앙 정부의 힘겨루기도 문제지만 복지라는 정치 상품에 쉽게 현혹되는 우리도 책임이 있다. 세상에 공짜가 없듯이 복지의 확대는 세금 부담으로 이어진다. 아직 많은 사람들은 복지의 확대로 인한 세금 인상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한다.

자신의 것을 나누기에는 인색하면서 사회복지의 확대를 요구하는 것은 필자가 얼마 전 경험한, “앞사람이 등받이를 젖히지 못하도록 한 채, 모두가 편하기를 바라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인간이 자신의 이익을 위한 방향으로 행동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리고 가지지 못한 이들을 위하여 가진 이들의 희생을 강요할 수는 없다. 다만 나눔이 희생으로 인식되지 않는 사회적 공감대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한 국가의 사회복지 수준은 복지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 수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복지사회를 위해 준비해야 하는 것은 사회복지의 제도적 확대와 함께 사회복지의 확대에 따른 개인의 역할에 대한 태도의 변화일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