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공단’에서 ‘환경수도 창원’으로 간판을 갈다
‘창원공단’에서 ‘환경수도 창원’으로 간판을 갈다
  • 강지우 기자
  • 승인 2012.10.06
  • 호수 137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 발전된 도시를 위해서는 환경적 인식이 필요해”
1974년 4월 정부는 중화학·기계공업 육성 정책의 하나로 경상남도 창원시를 ‘산업기지개발구역’으로 지정했다. 창원시는 황무지와 같은 땅에 대규모 도시계획을 실행하고 ‘창원국가산업단지’를 건설했다. 당시 창원시는 △이미 도시로 발전한 마산시, 진해시와 인접해 산업단지 유치 시 풍부한 노동력이 확보 가능한 점 △고속도로, 철도가 지나가고 항만이 있어 운송이 발달할 수 있는 점 △지반이 암반이어서 대규모 중화학 공장이 들어서도 침하 염려가 없는 점 △당시 북한의 군사력 수준에서 거리상 안전한 점 덕분에 산업기지개발구역 대상으로 선정됐다.

창원시의 가장 큰 특징은 토지가 이용 목적에 따라 구역이 나뉘는 것이다. 13.5km의 창원대로를 기준으로 남측은 생산 공단, 북측은 배후 주거 단지로 개발됐다. 생산 공단에는 각종 기업의 공장이 입지해있고 배후 주거 단지는 업무와 주거를 위한 구역으로 지정됐다. 두 구역의 경계에는 완충 녹지와 공원이 있어 공업 지역의 소음·환경 공해 등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주거 단지는 ‘근린주거생활권’이라는 제도로 인구 1만~1만 5천여 명의 하나의 생활권에 공공시설, 병원, 유치원, 학교 등이 반드시 유치돼있어야 한다. 주택 형태도 단독 주택, 아파트, 연립 주택 단지로 나뉘어 건설됐다. 상업시설도 정해진 구역에만 입지해있다. 최재호<창원시청 도시계획과> 계장은 “창원공단은 환경오염이 적은 기계산업을 위주로 여전히 성장 중”이라며 “1974년에 지정된 산업단지 중 가장 모범적인 계획도시”라고 말했다.

도로는 시청 광장을 중심으로 직선으로 뻗어 나가는 블록 식으로 건설됐다. 시 중심의 경상남도청에서부터 창원시청을 지나 관리공단에 이르는 중앙 업무 지역의 넓은 도로망은 호주 캔버라시의 도로망을 성공적으로 벤치마킹한 사례다. 25년간 창원에 거주한 염숙자<경상남도 창원시 50> 씨는 “1980년대만 해도 생활이 불편했다”며 “도시 정비가 된 후 도로망과 시설 이용이 편리하고 공원이 많아져 쾌적하다”고 했다.

1970년대부터 폭 25m 이상 도로에는 녹지와 함께 자전거 도로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했다. 이 때문에 지금의 창원시가 자전거 도시로 거듭날 수 있었다. 창원시가 현재 ‘환경수도’라는 간판을 걸고 있는 것은 단기간의 노력이 아닌 미래를 생각한 도시계획에서 온 것이다. 김은빈<창원대 회계학과 11> 양은 “다른 주변 대도시에 비해 깔끔하며 자전거 타기도 좋다”고 말했다.

창원시가 본격적으로 환경도시로 전환된 것은 2006년 11월 ‘환경수도 창원’을 선언하면서부터다. 문미경<창원시청 환경수도과> 환경정책보좌관은 “창원시는 전형적인 공업도시로 성장했지만 환경을 생각하지 않으면 그 이상 살기 좋은 도시가 될 수 없다는 인식이 자리 잡았다”고 취지를 알렸다.

이후 2008년에 제10차 람사르협약당사국총회를 시작으로 △IPCC(기후변화를 위한 정부 간 패널) 회의 △INCCD(유엔사막방지화협약) 총회 △세계생태교통창원총회 △EAS동아시아해양회의 등 환경 관련 국제 행사를 활발히 개최했다. 이로써 창원은 각종 환경 대회에서 수상해 국내·외 다른 도시들이 환경 정책을 벤치마킹해가는 모범 사례가 됐다. 또 △시민 공영자전거 누비자 운영 △으뜸마을 만들기 등의 시민과 함께하는 환경 정책도 추진하고 있다. 프랑스 파리의 공영자전거 ‘밸리브’를 벤치마킹한 누비자는 14만 명 이상의 회원과 여행객이 이용하며 으뜸마을을 만들기 위해 주민이 스스로 공동체의 환경 사업을 발굴한다. 또 시민이 시의 환경 정책을 논의하는 ‘환경수도정책시민평가단’도 활동 중이다.

창원시가 개선할 점에 대해 문 보좌관은 “마산·진해시와의 통합으로 환경수도 정책을 확대·발전시켜야 하며 기후변화와 에너지 고갈에 대응하는 선진 환경 정책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