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 아닌 혼혈인들, ‘여전히 서러워’
스타 아닌 혼혈인들, ‘여전히 서러워’
  • 장형수 수습기자
  • 승인 2006.04.09
  • 호수 1218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짝 관심보다는 혼혈인 위한 대책마련 시급
다니엘 헤니, 하인즈 워드, 데니스 강 등 이른바, ‘잘 나가는 혼혈인’들이 주목받고 있다. 사람들은 다니엘 헤니가 나오는 드라마를 보며, 국빈급 대접을 받으며 내한하는 하인즈 워드의 뉴스를 접하고, 데니스 강의 플레이에 찬사를 보낸다.

혼혈인들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점점 바뀌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람들의 인식 변화가 특정인들에게만 쏠린다는데 문제가 있다. 즉, 혼혈인 스타들에게 집중되는 관심이 다수 혼혈인들에게까지 분산될 수 있느냐다. 혼혈인 스타들은 혼혈이라는 이유로 더욱 더 많은 관심과 집중을 받지만, 그 외의 대다수의 혼혈인들은 같은 이유로 더욱 더 많은 고통과 시련을 받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필리핀에서 한국으로 시집을 온 한 여성은 “분유값 살 돈이 없어 젖 땔 때가 한참 지난 아이에게 아직도 젖을 먹이고 있다.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일자리를 구하기도 쉽지가 않고, 집 밖으로 나가기도 두려워 집 안에서만 생활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고통은 고스란히 혼혈인 자식에게 이어진다. 특히 동남아나 아프리카 혼혈인들은 경제적으로 열악한 환경이 계속 대물림 되고 있다. 아이는 혼혈이라는 이유로 같은 반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고 한국말이 서툴러 따돌림, 심지어는 구타까지도 받고 있다.

 그렇다면 왜 유독 우리나라에서 혼혈인 차별이 이토록 심한 것일까. 예부터 우리나라는 유교문화에 단일민족이라는 이유로 다른 문화를 배척해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우리나라 민족의식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생각이 바뀌어 가고 있다. 외국으로 국적을 옮기면서까지 병역 의무를 회피하는 사람들보다 한국으로 국적을 옮긴 외국인을 한국인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한민족 되기’보다는 ‘대한민국 국민 되기’를 더 중요시 여기게 된 것이다. 이른바, 혈연 민족주의가 아니라 국적 민족주의로 변화하고 있다.

조재룡<국문대·불문>교수는 “우리나라가 인종 차별이 굉장히 심한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한국인들은 자신들이 인종 차별주의자라고 생각하지 않고 있다.”라며,“역사적으로 단일국가였던 우리로서는 ‘우리’라는 테두리를 벗어 던지고 무조건 개방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혼혈인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사람들이 편견을 갖는다는데 있다. 전유나<언정대·신문방송정보사회학부 06>는 “언론에서 보도되는 혼혈인들에 대한 기사들이 너무 특정인들에게만 집중되고 있고, 정작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사회적 제도장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고 말했다.

 프랑스를 예로 들면, 다른 국적을 가진 사람이 프랑스 인과 결혼해 프랑스에서 아이를 낳는다면, 그 아이에게는 프랑스 국적이 부여된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이미 제도적인 차원에서 많은 혼혈인들을 보호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르면 올 12월부터 한국인과 사실혼 관계에 있는 외국인과 그 자녀에게 국적과 영주권이 부여된다. 또 피부색과 인종에 따른 차별적 의미가 내재된 ‘혼혈인’이라는 법적 용어가 ‘결혼이민자의 자녀’로 바뀐다.

법무부는 “현재 외국인이 한국인과 사실혼 관계에 있더라도 국적 및 영주권을 취득하지 못해 국내서 자녀 양육을 포기하는 사례가 있었다”며 “앞으로 이들 결혼이민자와 그 자녀들도 국적, 영주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 하겠다”고 밝혔다.

고령화·저출산 등으로 한국은 앞으로 국제결혼이 더 늘어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국제결혼이 늘어난다는 것은 곧 혼혈인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잘 나가는 혼혈인’들에 대한 일반인과 언론의 ‘반짝 관심’이 아닌 정부차원에서 소외받는 대다수 혼혈인들에게 사회적인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황예도 2023-08-01 20:13:32
이 글은 혼혈인들에 대한 관심 변화와 사회적인 문제점을 다루고 있습니다. 혼혈인 스타들은 주목받지만, 대다수의 혼혈인들은 여전히 차별과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혼혈인들이 받는 편견과 언론의 관심 집중에 대한 우려를 표현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에서 혼혈인들을 보호하고 지원할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적 민족주의를 극복하고 무조건 개방적인 사회를 추구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타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