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을 방해하는 베르사미의 무거운 가족사
몰입을 방해하는 베르사미의 무거운 가족사
  • 김지연 기자
  • 승인 2012.03.10
  • 호수 136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와 원작 소설 「DMZ」의 서사 구조 비교

▲ 남북 측의 네 병사가 북측 초소에서 공기 놀이를 하고 있다.
우리 민족은 잊을 수 없는 역사 6.25전쟁을 겪었다. 분단 이후 이 역사를 소재로 한 한국 소설들이 꾸준히 등장했다. 6.25전쟁이 직접적인 소재는 아니지만 그에 따른 결과로 나타난 사건을 소재로 다룬 소설 「DMZ」는 2000년 최고 흥행작인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이하 JSA)」의 원작 소설이다.

「DMZ」는 크게 ‘베르사미(영화 「JSA」에서의 소피 장)’의 가족사와 판문점 총기난사 사건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JSA」는 「DMZ」에서의 판문점 총기난사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하며 남북한 병사들 간의 우정을 중심으로 다룬다.

「DMZ」의 화자는 베르사미 소령이다. 그의 아버지는 조선인이며 6.25전쟁 당시 인민군 소좌(한국군 소령급)였다. 권희돈<청주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DMZ」에서 베르사미의 가족사는 다소 무겁게 표현되고 있다”며 “베르사미 아버지의 비극적인 삶이 베르사미가 수사를 하는 과정 등 모든 행동과 심리에 영향을 끼친다”고 설명했다.

화자인 베르사미를 중심으로 한 소설의 서사는 판문점 총기난사 사건을 수사하는 추리기법으로 전개된다. 베르사미가 수사를 시작하고 나서부터 김수혁(영화 「JSA」에서의 이수혁) 상병이 죽는 장면까지가 서술시간이다.

마지막 취조 때 총을 왜 쐈느냐에 대한 김수혁의 진술은 ‘총성이 울리면 조건반사적으로 총을 겨누기 때문’이었다. 「DMZ」에서 사건에 대한 수사는 ‘왜 쐈느냐’보다 ‘누가 쐈느냐’를 밝히는 과정이었던 것이다.

서스펜스적인 추리기법을 이용한 서사 구조는 다소 견고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권 교수는 “「DMZ」는 책을 읽어나가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베르사미의 가족사가 지나치게 중첩돼 있고 조건반사라는 주제의식을 독자에게 강요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과거의 이데올로기적 대립을 후손들까지 물려받은 「DMZ」와는 달리 「JSA」는 이런 적대감을 지우고 화해하는 모습을 강조했다. 「JSA」에서는「DMZ」에서 무겁게 다뤄지는 베르사미의 가족사를 생략하고 총기난사 사건과 사건의 원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권 교수는 “영화에서「DMZ」보다는 남북 장병 간의 우정에 대한 내용을 극대화해 보여줌으로써 영화의 주제의식을 분명히 했다”며 “베르사미의 가족사가 생략된 것이 「JSA」가 흥행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라고 말했다.

「DMZ」는 주제가 ‘화해’인지 ‘화자의 정체성’인지 ‘조건반사’인지 독자가 혼란스러워 할 수 있는 서사 구조를 택하고 있다. 권 교수는 “「DMZ」가 서사 구조로서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현재 분단의 모습을 극복하는 남북한 병사의 끈끈한 형제애를 더 강조했어야 한다”고 말한다. 「JSA」는 이를 보완하고 주제의식을 더 분명하게 실현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도움: 권희돈<청주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 도서 「DMZ」, 논문 「소설 와 영화 에 대한 비교 연구」
사진 출처: 구글 이미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