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한옥에 살래
나도 한옥에 살래
  • 류민하 기자
  • 승인 2011.11.01
  • 호수 13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옥의 개방성과 자연친화성을 현대건축에도

대문이 눈앞에 서있다. 문을 열었지만 그냥 뚜벅뚜벅 들어갈 수 없다. 한옥에 들어가려면 누구나 문지방을 넘어야 한다. 방에 들어가기 위해서도 신발을 벗어야 한다. 문지방을 넘고 신발을 벗는 행동을 통해 한옥에 들어가는 사람들은 ‘다른 공간으로 들어간다’는 느낌을 받는다. 거리에서와 다른 마음가짐을 가지게 되는것이다. 이처럼 한옥에는 건축가들의 세심한 의도가 숨겨져 있다. 한편 한옥의 특성들을 현대건축에 접목시키려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자연을 향해 열린 한옥

▲ <한옥의 문을 열어놓으면 주변 경관들이 그대로 보인다>

우리 주위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건물들은 서양식이다. 보통은 건물 안과 밖의 구분이 뚜렷하다. 건물 안에서도 마찬가지다. 각 방마다 경계가 차단되어 용도가 확실하게 구분돼 있다. 서양건축에서 벽은 물리적, 시각적, 청각적으로 방과 방 사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한옥은 열려있으면서도 닫혀있다. 한옥의 담장은 외부에 대해서는 경계를 그어 안을 보호한다는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되 내부적으로는 한없이 개방적일 수 있도록 한다. 담장너머의 한옥을 봐도 완전히 닫혀있다는 느낌을 받기는 어렵다.

한옥은 벽의 많은 부분이 창과 문으로 뚫린 구조다. 대청이나 안방을 중심으로 창호지를 사이에 두고 방들이 이어진다. 건물의 안과 밖도 마찬가지로 이어진다. 여름철 대청마루에 앉으면 시원한 바람을 느낄 수 있는 것도 그 이유다.

건축학에서는 이를 ‘확장성’이라고 부른다. 공간이 점점 커지며 작은 우주인 사람이 큰 우주로 커진다는 철학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한옥의 열려있는 구조는 자연친화성과도 연결된다. 창과 문을 열어놓으면 집 근처의 산과 풍경이 그대로 보인다. 한옥은 이로써 자연을 받아들이고 어우러진다.

건축재료도 최소한의 가공만 거쳐 최대한 자연 그대로 사용한다. 기둥이나 서까래에서 각기 크기가 다른 나무들을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다. 기둥 밑의 주춧돌은 원래 돌의 모양대로 기둥과 어우러진다.

냉·난방시스템에서도 한옥의 자연친화적인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 겨울에는 불을 지펴 돌을 달구는 온돌이 보온기능을 담당하고 여름에는 대청마루 틈 사이로 바람이 들어오게 했다.


현대 한옥의 전망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엔 아파트 붐이 일어났다. 현재 아파트는 우리나라 주택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공급되는 주택의 80% 이상이 아파트다.

사람들의 삶의 방식이 다양화되면서 개성있는 주거형태를 원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다. 이런 수요의 만족과 한옥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노력으로 한옥을 현대화 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각 지역별로 기존의 한옥을 보존하거나 리모델링하여 새로운 용도를 모색하고 새로운 한옥마을을 조성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토지주택공사는 작년 한옥의 세계화를 표방하면서 한옥형 아파트 공급계획을 발표했고, 그 밖에 민간 건설업체도 한옥 인테리어를 적용한 공동주택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한옥의 현대화가 본격화되면서 한옥의 어떤 특성을 유지하거나 적용할 것인가가 활발하게 논의중이다. 논문 「한옥형 아파트 계획을 위한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한옥의 긍정적인 특성으로 외관에서 풍기는 전통성과 개성, 자연환경과의 조화, 공간용도의 다양성 등을 꼽았다. 이런 점들을 살려 실제 현대건축에 적용되고 있는 건축요소는 마당과 마루다. 마루는 다목적 생활공간이다. 각 방으로 들어가기 위해 거치는 통로의 기능을 하면서 공간을 확장하는 역할도 한다. 마당은 채와 채를 분리하면서도 연결해 연속적인 동선체계를 만들어낸다. 안마당은 한옥형 아파트에서 마당형 발코니, 내부마당 등으로 활용된다.

다만 전통적인 주거형태인 한옥은 현대인의 생활양식에 맞지 않는 부분도 있다. 자연재료를 주로 사용하다 보니 유지·관리가 어렵고 수납공간 부족, 설비이용의 어려운 점이 바로 그것이다. 높은 건축비용도 한옥의 대중화에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주재영<토지주택공사 주택디자인팀> 차장은 “한옥전문가와 현대건축 전문가들이 토의를 통해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디자인 요소로서 우리 것에 대한 트렌드가 일어나면서 한옥형 주택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사진출처 : 구글이미지
참고 : 논문 「한옥형 아파트 계획을 위한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논문 「한복과 한옥의 조형미 분석」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