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고라] 가난을 보는 시선에서 혐오를 거둬라
[아고라] 가난을 보는 시선에서 혐오를 거둬라
  • 오수정<대학보도부> 정기자
  • 승인 2019.05.06
  • 호수 1494
  • 6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수정<대학보도부> 정기자

최근 유튜브에서 MBC 드라마 ‘지붕뚫고 하이킥’을 보던 중 극중 캐릭터에 대한 비난이 담긴 댓글을 봤다. 극중 가정부 역할인 ‘세경’의 동생 ‘신애’가 가정형편이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분수에 맞지 않게 욕심을 부렸다는 내용이었다. 이에 어떤 사람이 ‘신애’ 캐릭터를 싫어하는 이유에 대해 쓴 댓글이 눈길을 끌었다. 사람들은 가난한 사람이 본인의 형편에 맞게 행동하고 욕심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가난한 사람이 그 이상을 바라면 해당 캐릭터를 부정적으로 본다는 것이다. 이는 가난한 자에게 엄격한 잣대를 요구하는 ‘가난 혐오’일 수 있다.

실제 사례에서도 이런 상황을 종종 찾을 수 있다. 한 센터는 기초생활수급자 아이가 일식집에서 식사하는 것을 목격했다는 항의전화를 받았다고 한다. 항의자는 본인이 낸 세금으로 기초수급을 받는 아이가 분식집에서도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일식집에서 먹는 ‘사치를 부렸다’는 것에 분노했다고 한다. 이 외에도 복지아동에게 ‘굳이 브랜드 피자를 줘야 하느냐’, ‘브랜드 신발이 보육원 신발장에 있으니 후원을 끊겠다’는 내용의 소식은 우리 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우리는 가난한 사람에 대한 선입견이 있다. 돈이 없으니 명품 옷을 입을 수 없고 비싼 음식점에서 밥을 먹을 수 없다는 편견 등이다. 일종의 *대표성 휴리스틱이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가난한 사람에 대한 선입견에 과도하게 의존해 발생한 판단 오류인 것이다.

판단 오류를 기반으로 우리는 가난한 사람에게 불편함을 느낀다. 사람들은 가난한 사람이 생존 이상의 욕구를 가지면 사치라고 생각한다. 이로 인해 “감히 가난한 사람이 일식집에서 밥을 먹어?”, “가난하면서 피아노를 배우고 비싼 패딩을 입으려해?”라는 의문들이 발생한다. 이는 가난한 사람에게 허용되는 욕구의 범위가 매우 좁다는 것을 보여준다.

위와 같이 가난을 보는 태도는 그리스 신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와 닮아있다. 악당 프로크루스테스는 지나가는 나그네를 집에 불러 침대에 눕혀 놓고 나그네의 키가 침대보다 길면 그만큼 잘라내고, 침대보다 짧으면 침대 길이에 맞춰 억지로 늘려서 죽였다고 한다. 자신의 절대적인 기준을 정해 두고 이에 맞지 않으면 용납하지 못하는 것이다. 가난의 기준을 정해두고 타인을 재단하고 혐오하는 것과 유사하다.

가난한 사람들이라고 보는 이에게 허락된 행복만 누려야 할 필요는 없다. 왜 우리는 가난한 사람은 타인이 흐뭇할 행복만 누려야 하고 그 선을 넘으면 ‘분수에 맞지 않는’ 사치를 부린다고 생각하는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자신의 정의에 맞지 않다는 이유로 가난한 사람들을 자의적으로 배제하고 차별하는 것은 옳지 않다. 가난은 선택이 아니며 이를 우리가 함부로 할 권리는 없다. 가난한 사람을 자신의 침대에 올려 맞추려는 생각을 멈춰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