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수능 필수 과목 지정?
한국사 수능 필수 과목 지정?
  • 배정은 기자
  • 승인 2013.09.14
  • 호수 139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필수 과목 지정보다는 자격시험으로
최근 교육부가 현재 중3 학생들에 해당하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에서 한국사를 필수 과목으로 지정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찬반 여론이 나뉘고 있다.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게 된 배경은, 중국의 동북공정, 일본의 위안부 문제·독도 문제 등이 대두되면서이다. 즉, 역사의식의 중요성이 주목받게 된 것에서 비롯된다. 이후 각종 매체와 언론에서는 학생들의 역사의식을 조사했고 그 결과, 학생들의 역사의식은 턱없이 부족했다. 이 때문에 범국민적으로 한국사 선택 과목 제도에 대해 문제 제기가 됐고, 국민들은 교육부의 제도를 비판하고 나섰다.

그러나 한국사를 수능 필수 과목으로 도입하는 것이 과연 본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는가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 우선, 역사 과목의 근본적인 평가요소가 ‘암기’가 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수능과 같은 시험에서 변별력을 갖기 위해서는 ‘누가 더 많이 외웠는가’를 평가해야 한다. 이러한 특징은 학생들의 역사 과목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교사들에게도 한국사 필수 지정은 부담이 된다. 우선 한국사 과목의 양이 방대해 진도를 다 나갈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다.  필수 과목으로 지정됐기 때문에 이를 모두 가르치지 않을 수 없고, 그렇다고 해서 다른 과목의 시간을 빼앗아 올 수도 없는 딜레마가 생기는 것이다.

또한 몇몇 교사들은 한국사의 양이 많아진 이유가 지나치게 자세한 세부 사항까지 교과서에 실려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실례로 수능 국사 문제에는 농업 기술이 ‘처음 보급’된 시기와 ‘상용화’된 시기를 구분하여 알 것을 요구한다. 그런데 농업 기술에는 시비법, 이앙법 등 다양한 농업 기술이 있으므로 양이 방대해진다.

 따라서 대안을 제시하자면 지금까지 시행됐던 암기 중심의 수업이 아니라 ‘주제사 중심’의 역사를 배우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독도 문제나 동북공정과 같은 문제에 대해 핵심적인 쟁점을 중심으로 공부한다. 또 우리나라의 입장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주장까지 두루 살펴 다각적인 안목을 기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평가하는 방법은 일정 점수가 넘으면 합격하는 자격시험으로 치러야 한다. 이렇게 되면 수험생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역사의식 함양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