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세대를 위한 친숙한 국악을 만들고 싶어요”
“다음 세대를 위한 친숙한 국악을 만들고 싶어요”
  • 김유진 기자
  • 승인 2012.11.03
  • 호수 137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악 작곡 전공 선중규<음대 국악과 11> 군과의 인터뷰

국악은 예로부터 전해지는 전통 국악과 전통 국악을 바탕으로 새롭게 탄생한 창작 국악으로 나뉜다. 국악의 음계에 가장 맞닿아 있는 사람들 중 하나는 바로 국악 작곡가일 것이다. 우리학교 음대 국악과에서 작곡을 전공하고 있는 선중규<음대 국악과 11> 군과 이야기를 나눠봤다.

Q. 국악 작곡을 전공하게 된 계기는
국악은 우리나라의 음악임에도 국민들이 즐겨듣지 않는다. 오히려 국악보다 서양의 클래식을 더 고상한 것으로 여긴다. 한국인으로서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국악이 우리나라에서 외면 받는 현실이 안타까웠다. 때문에 다음 세대를 위한 친숙한 국악을 작곡하고 싶었다.

Q. 국악의 작곡 과정과 서양음악의 작곡 과정의 차이점은
음악을 작곡하는 과정에서 국악과 서양음악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어떤 음악을 작곡하든지 영감을 얻는 데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가을을 주제로 작곡을 한다면 가을과 관련된 에피소드를 끄집어낸다. 그 다음에 국악은 국악의 음계를, 서양음악은 서양의 음계를 이용해 에피소드를 풀어내는 점이 다르다. 국악은 아직 이론이 잘 정립되지 않아 작곡에 적용시킬 마땅한 음악 형식이 없지만 서양음악은 체계가 잘 잡혀있어 작곡할 때 론도, 소나타와 같은 음악 형식을 바탕으로 좀 더 용이하게 작곡할 수 있다.

Q. 국악을 작곡할 때 에피소드를 음계로 풀어내는 과정은 어떻게 이뤄지나
국악 작곡에 쓰이는 음계로는 ‘솔라도레미’의 평조, ‘라도레미솔’의 계면조, ‘레미솔라시’의 우조 등으로 구성돼있다. 각각의 음계에는 저마다 어울리는 국악의 장르가 있다. 예를 들어 산조를 작곡할 때는 우조로 쓰고 메나리조를 작곡할 때는 계면조를 쓴다. 음계를 택하고 음을 구성한 뒤에는 리듬을 바꾸고 빠르기를 달리하는 등의 변화를 준 뒤 전체적으로 다듬어 주면 곡이 완성된다.

Q. 국악을 작곡할 때는 정간보를 쓰나
정간보를 쓰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서양의 오선보를 쓴다. 오선보는 정간보에 비해 익숙하기 때문에 훨씬 편하고 앞에서도 말했듯이 서양음악과 국악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정간보를 이용해 국악을 작곡하는 것이 ‘국악 고유의 맛’을 살리는 데 더 좋다고 생각한다.

Q. 본지 독자들을 위해 가을에 어울리는 국악 하나를 추천해준다면
故 이상규<음대 국악과> 전 교수의 「자진 한 잎」을 추천한다. 「자진 한 잎」은 전통 가곡에 피리나 관현악 합주를 더해 기악곡으로 바꾼 것이다. 이 교수는 1972년에 피리 연주를 더한 피리협주곡 「자진 한 잎」을 작곡했다. 이 교수의 「자진 한 잎」을 들으면 남성적이고도 힘찬 느낌이 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