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 투명하게 운영돼야 한다
입학사정관제, 투명하게 운영돼야 한다
  • 한양대학보
  • 승인 2008.03.24
  • 호수 126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명박 실용정부가 출범한 후 처음 발표된 2009년 입학전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발표된 입학전형을 살펴보면 대학의 선발 자율화가 늘어난 점이 눈에 띈다. 그 중에서도 눈길을 끄는 것은 단연 ‘입학사정관제’다. 입학사정관이 신입생을 선발하기 위해 학생에게 직접 찾아가는 이 제도는 이미 미국, 일본 등에선 익숙한 제도다. 작년 서울대에서 시범실시한 후 한양대, 고려대, 성균관대 등 주요 사립대학이 이 제도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 중 한양대의 전형엔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양대는 입학정원 외 20명을 이 제도로 학생을 선발한다. 더 파격적인 것은 지원 자격 자체가 아예 없다는 것이다. 지원할 때 학생부가 30% 반영되긴 하지만 나머지 70%는 객관적인 지표가 아닌 사정관의 판단 등 주관적인 기준으로 채워진다.

학생들이 자신을 추천하는 식의 서류를 제출하면 입학사정관은 그 사실 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학생에게 ‘파견’된다. 그 다음으로 입학사정관회를 거쳐 한 번 더 논의되고 마지막으로 면접까지 치러야 선발은 완료된다. 한양대는 학교이념인 ‘사랑의 실천’에 가장 적합한 학생이나 학교를 빛낼 수 있을 학생을 선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학교가 학생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 가능성을 발견하고 성적이 아닌 학생의 가능성에 더 큰 가치를 둔다는 점은 높게 살만하다. 하지만 한국의 입시 상황을 살펴보면 우려의 목소리를 쉽게 간과할 수는 없다. 미국이나 일본 같은 경우 이 제도를 위해 학생의 초등학교 시절부터 살펴볼 수 있는 제도가 마련돼 있다.

그렇지만 이제 걸음마를 떼는 우리나라의 경우 입학사정관들이 볼 수 있는 것은 학생의 고등학교 시절뿐이다. 이는 학생을 살펴보는 데 있어 피상적인 관찰에만 그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입시 제도를 둘러싼 과열현상을 고려했을때 부정적으로 이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우려를 피하기 위해 학교는 학생의 가능성을 살피기 위한 다양하고 공정한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이 제도의 가장 큰 약점인 사정관의 주관적인 판단은 이를 뒷받침하는 타당한 근거와 함께 공개돼야 한다.

물론 이러한 걱정 때문에 발전가능성이 있는 학생들을 찾지 못하는 건 말 그대로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 담그는’ 경우다. 제대로 된 ‘장’을 담그기 위해서는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해 학생들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