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의 백일몽
대중의 백일몽
  • 한대신문
  • 승인 2007.04.02
  • 호수 12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류 열풍이 눈에 띄게 약해지고 있다. 아시아권 전역에서 더 이상 한국 문화에 대한 열광을 찾아보기 힘들다. 수년 동안 한국 대중문화의 가장 큰 수입국이었던 일본에서 한류는 단지 ‘배용준 바람’에 불과했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우리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중국인의 시선 또한 싸늘하게 식어버린 지 오래다. 지아장커(賈樟柯)의 영화 <세계>(2004)가 보여주듯, 현재 중국의 젊은이들은 주변 국가들의 애매한 무국적 대중문화보다는 ‘진짜’ 서양 대중문화를 흉내 내는데 몰두하고 있다.

사실, 한류가 지난 몇 년 동안 아시아 국가들에서 통할 수 있었던 것은 남다른 ‘서양 흉내 내기’ 능력 때문이었다. 동양의 얼굴을 한 배우들이 나와 서양식 감수성으로 서양식 사랑을 보여주는 것에, 또 다른 동양인들이 열광했던 것이다. 이들이 차마 용기가 없어서, 혹은 세련된 기술이 부족해 따라하지 못했던 것을 우리는 천연덕스럽게 흉내 내면서 아시아의 대중문화 시장을 자극할 수 있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자극했을 뿐, 결코 정복하지는 못했다.

무엇이 문제였을까. 이유를 들자면 한둘이 아니겠지만, 무엇보다 한국의 대중문화 종사자들이 너무 안일하게 ‘대중의 백일몽(白日夢)’을 쫓았기 때문이다. 대중의 백일몽(Tagtraum des Masse)이란, 독일의 영화학자인 크라카우어(S. Kracauer)가 1920-30년대 서구 대중과 영화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만들어낸 말이다. 한 마디로, 현대사회의 대중은 다양한 사회적 억압으로 인해 다소 낮은 수준의 문화에 끊임없이 열광한다는 주장이다.

가령, 수년 전 우리나라에서 일어났던 ‘조폭 영화’의 유행이 그 예다. 오랫동안 이어져온 권위적이고 억압적인 사회구조가 대중의 무의식에 폭력성을 새겨놓았고, 이러한 내재된 폭력성으로 인해 한국의 대중은 단순하기 이를 데 없는 조폭영화를 반복적으로 찾았다.

어찌 보면, 일본에서의 「겨울 연갯 열풍 또한 일본 대중문화의 빈자리에 적절하게 맞물린  ‘우연’ 덕분이라 할 수 있다. 일본의 대중문화는 이미 1980년대부터 지나치게 고급화되거나 저급화되는 일종의 양극화 현상을 보여 왔다. 그러면서 어디에도 끼지 못하는 중간 수준의 대중들을 양산했는데, 그 소외된 중간 대중들의 문화적 허기를 일시적으로 채워주고 나아가 잃어버린 로맨티시즘까지 복원시켜준 것이 바로 한국의 몇몇 드라마와 영화들이다.

결국, 한국의 대중문화는 지난 수년간 안팎으로 대중의 백일몽을 충족시켜주는데 급급해왔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대중의 기호를 신속히 파악해 충족시켜주는 것이 대중문화의 의무이자 속성일 것이다. 하지만 지나치게 그것에 연연할 경우, 대중문화 종사자들 스스로가 제풀에 지쳐 떨어져나갈 수 있다. 무엇보다, 대중의 백일몽 자체가 대단히 가변적이면서 정신분산적인 현상이기 때문이다. 영화를 비롯한 대부분의 대중문화산업은 어디까지나 막대한 투자를 요구하는 고위험, 고부가가치 사업이다. 불과 몇 번의 잘못된 예측이 한 문화장르 전체의, 혹은 한 나라의 문화산업 전체의 파산을 가져올 수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너무나 당연한 얘기이지만, 문화 환경의 기반 다지기를 먼저 이행하면서 단계적으로 문화산업을 발전시켜나가야 한다. 특히 정보와 경험이 부족한 외국 시장을 대상으로 삼을수록, 원칙적이고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90여년 가까이 세계를 지배해온 미국영화의 힘이 단지 할리우드 영화에서만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뉴욕 등 다양한 지역에서 꾸준히 발전시켜온 실험적이고 진지한 영화들에 크게 의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오늘날 여기저기서 문화산업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문화’가 먼저이고 ‘산업’은 그 다음이다. 문화를 돈벌이의 수단 정도로 여기는 나라에서, 문화는 한없이 초라해질 수밖에 없고 산업 또한 결코 장기적인 발전을 이루어낼 수 없다.


김호영<국문대·유럽언어문화학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