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산곶매] 재난은 사회의 상처를 드러낸다
[장산곶매] 재난은 사회의 상처를 드러낸다
  • 오수정 편집국장
  • 승인 2020.03.15
  • 호수 1507
  • 7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느새 봄이 성큼 다가왔다. 얇아진 외투 사이를 스미는 바람이 따뜻해진 것을 느끼며 봄이 왔음을 실감했다. 하지만 길거리 풍경은 차가운 겨울의 끝자락을 붙잡고 늘어진 채 여전히 얼어있다. 거리마다 사람으로 북적거리던 곳들이 조용하며 지나가는 사람들은 마스크를 쓰고 발걸음을 빠르게 옮긴다. 멈춰버린 사회는 겨울의 연장선에 서있는 듯하다.

코로나19가 창궐하고 많은 일상이 바뀌었다. 질병이 바꾼 일상에 사람들은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이 사태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불편함이 아닌 재난으로 다가오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사회적 취약계층이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재난은 숨겨져있던 사회의 취약점을 벗겨낸다. 그리고 드러난 사회의 상처는 약자를 위협한다.

▲ 오수정<편집국장>

 


코로나19는 평소 사회가 어떻게 장애인을 대하고 있었는가를 보여줬다. 지난 4일 오전 질병관리본부 브리핑에 수어통역사가 등장했다. ‘코로나19 정부 브리핑에 수어통역이 없다’는 장애계의 지적에 의해 정부가 부랴부랴 수어통역사를 배치한 것이다. 이는 첫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1월도, 위기 경보를 심각 단계로 올린 2월도 아닌, 3월에서야 장애계의 지적을 받고 배치된 것이다. 이는 정부가 감염증 대처에서 장애인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방증이다.

정부도 농인에 대한 대처가 늦었는데 일반 사회는 어떨까. 대다수의 대학이 교육부 권고로 인해 개강 후 사이버강의를 실시한다. 그러나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학은 극히 드물다. 소수라는 이유로 알권리와 학습권에서 배제·주변화 되고 있는 것이다. 

노인 또한 코로나19 사태에서 소외되고 있다. 코로노19 유행이 시작되며 마스크는 생활필수품이 됐다. 정부는 마스크5부제라는 대책을 내놓았고 10세 이하 어린이와 만 80세 이상 노인, 장애인과 장기요양급여 수급자에 한해 대리구매를 허용했다. 하지만 거동이 불편한 70대 독거노인이거나 가족과 함께 살지 않을 시 대리 구매를 해 줄 사람이 없는 경우가 많아 해당 혜택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정부가 고심해서 내놓은 대책마저 사각지대가 존재했고 이는 고스란히 사회적 약자가 떠안게 됐다.

취약 계층 복지 정책의 일환이었던 집단 수용 시설의 위험성이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입증되기도 했다. 집단 감염과 첫 사망자가 발생한 '청도 대남병원' 역시 기저 질환이 있는 고령자를 집단 수용하던 곳이었다. 이 곳뿐만 아니라 '칠곡 밀알사랑의 집' 등 집단 발병이 일어난 장소 중 많은 곳이 취약계층 돌봄 시설이었다. 이에 전국 장애인 차별 철폐 연대는 성명서를 발표해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재난 상황이 폐쇄병동 입원자와 같은 사회적 소수자에게 얼마나 폭력적인 재앙을 불러오는지, 지역사회 의료시스템이 집단격리수용시설과 얼마나 괴리돼 있는지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가 평소 우리 사회의 노동 환경의 약점도 들춰냈다. 서울 구로구의 한 콜센터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 사례가 발생했다. 밀폐된 공간에서 집단으로 근무하는 특성이 코로나19의 확산을 키운 것이다. 콜센터는 평소에도 근무 환경이 열악한 편이다. 수십명의 상담원들은 하루종일 환기도 제대로 되지 않는 닭장 같은 좁은 공간에 모여 앉아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평소 우리나라의 고질적인 노동 구조적 문제인 비정규직, 하청 제도도 코로나19 사태에서 비껴갈 수 없었다. 5일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자동차 비정규직회에 따르면 정규직 노동자들에게는 ‘방진마스크’를 지급한 반면 하청 노동자인 비정규직에게는 마스크도 아닌 ‘방한대’를 지급했다. 노동계의 뿌리깊은 차별이 이들의 건강권까지 위협하고 있다.

필자가 어렸을 때 상상한 2020년은 자동차가 하늘을 날아다니고 알약 한 알이면 식사를 해결하게 될 줄 알았다. 필자가 살고 있는 2020년은 감염병이 대유행해 사재기로 생필품이 동나고 돌봄 공백을 겪는 취약 계층은 굶어 죽을 위기까지 처해 있다. 코로나19 사태는 우리 사회에 존재하던 약점을 꺼내줬고 이 문제는 고스란히 사회적 약자에게 파고들었다. 이번 위기를 극복하더라도 재난은 우리 사회를 수없이 덮쳐올 것이다. 부디 이번 위기를 발판삼아 사회가 약자를 위한 안전망을 마련해 사회의 상처를 치료하길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