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캠 ‘제6·7학생생활관’ 신축안 어디까지 왔을까?
서울캠 ‘제6·7학생생활관’ 신축안 어디까지 왔을까?
  • 이지윤 기자
  • 승인 2018.09.17
  • 호수 1481
  • 2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민과 학생이 상생할 수 있는 합의점 필요해  

서울캠퍼스의 ‘제6・7학생생활관’ 신축안이 지난해 12월 7일 서울시 제22차 도시계획위원회(이하 도계위)에서 통과됐다. 제6・7학생생활관이 도계위를 통과하기까지는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지난해 12월에 열린 제22차 도계위를 앞두고는 학생 측과 반대 주민 측이 대립하기도 했다. 이러한 어려움을 거쳐 서울시에 승인된 기숙사 신축 사업은 인근 주민들의 반발로 지체되고 있다. 원룸 임대 수익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지역 주민들에게 피해가 간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김승덕<관리처 시설팀> 직원에 따르면 현재 ‘제6・7학생생활관’의 △도시계획 △교통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대행업체는 선정된 상태다. 제6학생생활관의 경미한 변경 건으로 인해 도시계획은 9월 중순쯤 협의가 완료될 예정이다. 건축실시설계 업체와는 현재 *실시설계에 따른 제반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기본실시설계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교통영향평가 및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인근 지역 주민들의 민원이 없다는 전제하에, 교통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 완료 시기는 2019년 2월로 예상되며, 교통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가 완료되면 성동구청의 인·허가를 받게 된다.

김 직원은 “도시계획승인 시 협의된 제6학생생활관 정원 480명, 제7학생생활관 정원 802명을 최대한 수용할 수 있도록 각 생활관 단위평면을 조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김 직원은 “현재 건물외장재 변경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근 주민들의 반발에 대해서는 “학교의 기본원칙은 주민들과 협의 하에 원만한 과정 속에서 기숙사 신축을 진행하는 것”이라며 “만약 주민들이 무리한 요구 등을 제시할 때는 그에 따른 다양한 대응전략으로 해결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대학 관련 정보공개 포털인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서울캠의 2016년 기숙사 수용률은 11.5%다. 이는 수도권 대학의 평균 기숙사 수용률인 16.5%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이에 대해 신정훈<사회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17> 씨는 “작년에 기숙사에도 거주해보고 왕십리에서 자취도 해봤다”며 “타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의 경우, 주거비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크게 느낄 수밖에 없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신 씨는 기숙사 신축에 대해 “기숙사가 완공되고 학생들이 거주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최대한 빠른 진행으로 하루 빨리 많은 학생들이 기숙사의 이점을 체감할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끝으로 김 직원은 “기숙사는 타 대학들 사례를 보더라도 주민민원이 신축일정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며 “학생들이 자체적으로 주민 혹은 관청을 상대로 의견을 개진하는 것 보다, 학교 측과 논의해 함께 기숙사 신축 과정을 헤쳐 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주거비로 인해 경제적 부담을 느끼는 학생들에게 기숙사 신축은 단비와 같은 소식이다. 원만한 기숙사 신축을 위해 주민들과 학생들이 더불어 상생해 나갈 수 있는 해결점을 찾아야 할 때다.


*실시설계: 기본설계의 결과를 토대로 설계도서, 도면 등을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