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같은 그대의 자존감을 묻다
꽃 같은 그대의 자존감을 묻다
  • 윤가은 기자
  • 승인 2016.04.30
  • 호수 14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같은 종의 꽃이라도 그 모양이 제각각인데 하물며 사람의 ‘내면’은 어떨까. 바늘구멍으로나마 꽃의 내면을 들여다봤다. 김하은<경금대 경제금융학부 12> 양의 자존감과 그것이 그녀의 삶에 미쳐온 영향에 대해 들어보자.

평범한 인생이 어디 있겠냐만은 김 양이 선택한 학창시절은 평범한 또래 학생들과는 아주 달랐다. 그녀는 고등학교를 2학년 때 자퇴했다. 공부에 뜻이 없어서가 아니라 뜻이 있기 때문이었다. 꿈꿔왔던 외고에 진학했지만 학교생활은 실망스러웠다.

아침 7시부터 저녁 10시까지 학생들을 강압적으로 묶어 놓는 학교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을 요구하는 수업방식이 그랬다. 또 인간관계가 좋아 친구도 많았던 그녀는, 남에게 퍼주기만 하는 관계에서 문득 ‘남의 식물엔 물을 주면서 정작 내 식물은 왜 돌보지 않는가’하고 짙은 회의가 들었다. 자신에 집중하고 삶을 주체적으로 계획해 나가기 위해 그녀는 자퇴를 결심했다. 고등학교 2학년이 시작되자마자였다.

그런 결단을 내릴 수 있었던 것은 그녀가 삶의 주체로서 자신의 판단을 밀고 나간 덕분이었다. 김 양은 ‘밀고 나갈 수 있는’ 그 힘을 자존감이라고 봤다. 그녀에게 자존감이란 어떤 것에서든지 자신의 기준이 명확하며 그런 확신 하에 행동하는, 적극적인 삶의 주체가 될 수 있는 힘이었다.

이런 힘이 어디서 비롯됐을지를 묻자 그녀는 망설임 없이 부모님의 영향이 절대적으로 컸다고 대답했다. 부모님은 선택의 기로에 선 그녀가 방향을 찾을 수 있게끔 지원해준 숨은 조력자였다. “주변 친구들의 부모님은 변호사가 돼라, 대학원을 가라, 하고 구체적 진로까지 정해주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그러나 그녀의 부모님은 오직 신뢰로써 그녀가 방향을 찾을 수 있게끔 했다. 강요를 하지 않고 세상의 여러 가능성을 그녀에게 제시해줬다. 자퇴할 때도 그랬다. 자퇴가 하고 싶다는 말을 처음 꺼냈을 때 부모님은 김 양의 생각을 묻고선 그러라고 하셨다. ‘넌 뭐든지 열심히 해서 늘 이뤄내는 아이다.’ 부모님이 김 양에게 늘 해준 칭찬은 그녀에게 큰 힘이 되었다.

그럼에도 그런 외부적인 요인만이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건 아니었다. 김 양은 무엇보다 자아 성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녀는 특히 “현대 사회는 쏟아지는 정보와 언제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스마트폰 때문에 우리의 시선이 너무 분산돼있다”며 “우리는 고독할 수 있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그녀는 스마트폰으로 하는 일회성 게임이 큰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을 삶에서 주도권을 쥘 수 없는 이들이 잠시나마 자신의 통제 아래 둘 수 있는 가상의 현실로 도피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봤다. 그녀는 책을 읽거나 글을 쓰면서 삶과 자신에 대한 화두를 끊임없이 던지는 것이 자존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최근 그녀가 읽은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은 삶에 새로운 화두를 던져주었다. 책에 나오는 글귀인 ‘Einmal ist keinmal(한 번뿐인 것은 전혀 없었던 것과 같다)’과 ‘Es muss sein(그래야만 한다)’ 사이에서, 그녀는 균형을 찾아가고 있는 중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