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대·생활대·자연대, 학부제 폐지
사회대·생활대·자연대, 학부제 폐지
  • 이우연 기자, 강지우 수습기자
  • 승인 2012.04.29
  • 호수 136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활대와 자연대는 확정, 사회대는 단대 내 이견 조율 중 대학가 경향과 학부제의 폐해가 주요 폐지 이유

내년부터 생활대와 자연대의 학부제가 폐지된다. 사회대는 내년 폐지를 목표로 단대 내에서 세부사항에 관한 이견을 조율하고 있다. 지난 1996년부터 학부제를 시행해온 서울캠퍼스는 이번 개편을 거치면 단대 차원에서 실시하는 학부제가 없어진다.

이번 학부제 폐지는 지난 2009년 교육기술과학부가 대학 학부제 의무 시행령을 폐지함에 따라 △다수의 대학이 학부제를 폐지하는 경향 △학생들과 교수들 내에서 꾸준히 제기돼온 학부제의 문제점이 맞물린 결과다.

단대별 진행 상황
생활대와 자연대는 교무처와의 교무회의를 통해 학부제 폐지가 결정된 상태다. 생활대는 정원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식품영양학과, 실내디자인학과, 의류학과의 정원을 같게 할 예정이다. 자연대의 정원은 물리학과 45명, 생명과학과 및 수학과 50명, 화학과 55명으로 확정됐다. 1학년으로 복학하는 학생은 각 단대 전공배정위원회에서 전공을 배정한다.

사회대는 교수들과 학생대표의 협의를 통해 세부사항을 논의 중이다. 과별 정원에 대한 학교 측과 학생회 측의 타협이 핵심 논점이다. 사회대 단대운영위원회는 수요에 따라 정원을 결정하는 안보다는 학부제 이전의 정원으로 돌리는 안을 채택했다. 이 안대로라면 행정학과 43명,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42명, 사회학과 34명, 정치외교학과 34명, 관광학부 37명의 정원이 예상된다. 

왜 학부제는 폐지돼야 하는가
그동안 학부제의 운영은 많은 문제점을 지적받았다. 자연대 학장 한명수<자연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학생들이 1학년 때 예비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학부제를 운영해왔지만 부작용이 더 많았던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학부제 운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은 △특정학과 쏠림 혹은 기피 현상으로 일부 학생들이 원하는 학과로 배정받지 못하는 문제 △학부생인 1학년의 교육내용에 대한 불만 △소속감 결여 △학생회 운영의 어려움 등이 주를 이뤘다.

 이에 대해 한 학장은 “최근 5년 전부터 청년 실업 문제가 심각해지자 학생들 사이에서 의·치학 대학원과 약학대학 진학에 유리한 특정학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며 “이로 인해 희망학과에 배정받지 못한 학생들로 인해 학업부실, 전공수업 분위기 저하, 학생만족도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2면으로 이어집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