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 입학사정관제의 성공 조건
입학사정관, 입학사정관제의 성공 조건
  • 김상혁 기자
  • 승인 2010.06.06
  • 호수 13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적용 확대와 맞춰 입학사정관 수도 늘려야
입학사정관제가 작년에 비해 2배 가까이 확대된다. 입학사정관제는 입학사정관이 고교 성적이 아닌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 대학의 설립 이념을 반영해 학생을 선발하는 입학제도다. 2010학년도 입시에는 3개 전형에서 총 651명이 입학사정관제로 입학했으며 오는 2011학년도 입시에서는 7개 전형에서 총 1천117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입학처장 오성근<공대ㆍ화학공학전공> 교수는 “신입생 구성의 다양화와 현 입시제도에서는 판단하기 어려운 미래발전가능성, 창의성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입학사정관제를 확대했다”고 밝혔다. 올해 입학사정관제 운영 지원사업에 우리학교가 선도대학으로 선정된 것도 입학사정관 확대의 주 요인이다. 오 교수는 “선도대학 선정으로 약 9억원의 국고지원금을 받게 됐다”고 밝혔다.

이러한 입학사정관제의 확대와 더불어 입학사정관제를 담당하는 ‘입학사정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김정일<한국기술교대ㆍ능력개발교육원> 교수는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위상 확보는 입학사정관제 정착의 필수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입학사정관은 △입시 당사자인 청소년의 발달 특성 △고등학교와 대학의 커리큘럼 분석 △대학의 이념과 교육 철학 △입시전형 기준과 연구개발 △상담기법 등 여러 분야의 전문성과 경험을 축적한 전문가다. 김 교수는 “입학사정관은 인간의 발달 가능성에 대해 고도의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학교에는 현재 총 10명의 전임사정관이 △신입생 선발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수료 △새로운 입학 전형 개발 등의 연구 △학교 홍보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각 입학사정관들은 오는 2011년 입시 전까지 전문성 함양을 위해 연간 180시간 정도의 교육을 받는다.

이인균<입학처ㆍ입학사정관팀> 팀장은 “대기업 직무교육과 우리학교에서 실시하는 자체교육, 여러 대학들이 함께 참여해 실시되는 세미나 등 전문 지식을 갖춘 입학사정관 양성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간 동안 우리학교에 맞는 인재상이 무엇인지에 대한 탐구와 면접ㆍ심사 교육 등이 주로 이뤄진다.

이 팀장은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으로는 전문 입학사정관을 배양할 수 있는 완벽한 커리큘럼이 존재하지 않아 대학 자체에서 입학사정관 교육을 실시하는 단계”라며 “지난 4월 입학사정관 1명을 추가 채용했으며 앞으로 2명의 입학사정관을 추가로 선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확보될 12명의 인력만으로 총 1천117명의 학생들을 선발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작년 수시 1차 입학사정관전형(현 미래인재전형)에는 서울캠퍼스 30명 모집에 1천200명이 지원했고 ERICA캠퍼스는 10명 모집에 225명이 지원했다.

올해에는 미래인재전형만 살펴봐도 서울캠퍼스 60명, ERICA캠퍼스 20명을 확대 모집해 총 2천850명이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인재전형에만 입학사정관 한 명당 230명 정도의 학생을 심사하는 셈이다.
게다가 입학사정관이 참여해야하는 전형 분야도 작년 3개에서 올해에는 7개로 늘었다. 김영철<한국교육정책연구원> 원장은 “입학사정관 한 명이 심사하는 학생 수가 백 단위가 넘어가면 사정 과정이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며 “전문적 자질을 갖춘 입학사정관의 수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이 팀장은 “7개 전형으로 늘었지만 입학사정관이 심사 전 과정에 참여하는 전형은 3개에 그친다”며 “각 전형마다 입학사정관이 참여하는 기간이 달라 업무 분화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편 입학사정관의 신분 안정화 필요성도 제기됐다. 현재 전국 47개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에 있는 정규직 입학사정관의 비율은 8.9%에 불과하다. 우리학교는 입학사정관 인원의 30%가 정규직 입학사정관으로 그보다는 높은 수준이지만 정규직의 비율을 현 수준보다 더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 교수는 “대학에서 입학사정관에게 신분과 직업의 안정을 제공해야 한다”며 “시간강사나 정년퇴직 교수들을 활용해 전문성도 갖추면서 정규직 비율을 더욱 높여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와 관련해 오 교수는 “정규직 입학사정관 채용 시 기존 비정규직 입학사정관 비례할당제를 도입하고, 기존 비정규직 직원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등의 방법으로 올해 안에 정규직 비율을 전체 입학사정관 수의 50%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