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권자 아닌 유권자가 돼야한다
기권자 아닌 유권자가 돼야한다
  • 한양대학보
  • 승인 2009.11.29
  • 호수 13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0학년도 양배움터 총(여)학생회 및 단대 학생회(이하 학생회) 선거가 막바지에 이르렀다. 학생의 대표를 선출하는 중요한 선거지만 매년 투표율을 걱정해야할 만큼 선거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은 낮다. 매년 최종 투표율은 양배움터 모두 선거세칙에서 규정한 최소 투표율인 50%를 간신히 넘기는 수준이며 때론 이마저 지키지 못해 투표연장이라는 사태까지 벌어진다. 이처럼 선거에 대한 학생들의 무관심은 학생회의 힘과 더불어 학생회 감시기능까지 약화시킨다.

선거에 대한 무관심은 후보가 부실한 정책을 공약으로 내세우도록 방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절반을 간신히 넘기는 투표율은 허술한 공약을 내세운 후보를 견제할 수 없다. 잘못된 공약이 있다면 후보에 대한 비난이 아닌 투표로서 후보의 당선을 막아야 한다. 공약에 대한 반대여론이 아무리 높더라도 투표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찻잔 속 소용돌이에 불과하다. 선거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가 많아지면 자연히 학생회에 대한 관심도 커진다. 이는 학생회를 감시하는 눈이 되기도 해 학생회의 실정을 비판할 수 있지만 투표율이 저조하면 이마저도 약해 질 수밖에 없다. 투표 기권은 학생 스스로 그 권리를 저버리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있었던 서울배움터 총학생회(이하 총학)의 비리사건도 만일 총학에 대한 감시의 눈이 없었더라면 밝혀질 수 없었던 일이었다. 이 사건 이후 총학의 회계 감시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커져 이젠 회계내역 공개가 총학의 의무로 자리 잡았다. 실제로 모 선거본부의 경우 회계공개 의무화 규정 제정을 선거 공약으로 내세우기도 했다. 이에 반해 얼마 전 있었던 서울배움터 공대 학생회의 비리 논란은 학생들의 무관심이 학생회 감시 기능 약화로 이어진다는 점을 보여줬다. 본래 학생이라면 자신이 속한 단대 학생회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단대 학생회는 단대 학생들의 투표를 통해 선출한 대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작 공대 학생회의 비리 의혹을 처음 제기한 사람은 공대 학생이 아니었다. 학생회에 대한 관심과 비판기능이 부족하니 학생회의 비리 의혹조차 지나칠 뻔 한 것이다.

낮은 투표율로 선출된 학생회는 학생들의 대표로 나설 힘을 잃어버린다. 낮은 투표율로 당선된 학생대표가 학교에 영향력을 끼치기는 힘들다. 학생들의 지지는 학생회의 버팀목이며 활동 기반이다. 따라서 저조한 투표율은 선출될 학생회의 힘을 제한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처럼 투표율 저조가 가져오는 문제점들은 결국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돌아오기 마련이다. 따라서 학생들은 누군가가 아닌 자신을 위한 투표라 생각하고 참여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