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일기] 기자이시잖아요
[취재일기] 기자이시잖아요
  • 채수민 기자
  • 승인 2023.01.02
  • 호수 1559
  • 6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채수민<대학보도부> 부장

“기자이시잖아요” 기자증을 걸고 인터뷰를 하러 갔을 때 몇 번 들어봤던 말이다. 수습기자 때부터 이제 막 정기자가 됐을 무렵 취재를 나갔을 땐 “기자니까! 더 자세히 조사해봐야 하는 거 아니에요?” “기자니까! 알고 계셔야 하는 거 아닌가요?”와 같은 말을 종종 듣곤 했다.

그럴 때마다 정신이 번쩍 뜨였다. 한대신문의 이름을 걸고 취재를 나갈 땐 필자는 더 이상 학교생활에 치여 정신없는 대학생이 아니라, 학생 대표자로서 학생들의 목소리를 전하는 기자가 된다.

평소 큰 의미 없이 내뱉는 말과 달리, 학교 신문의 기자로서 필자가 꺼내는 말엔 무게가 실린다. 인터뷰이와 나눈 대화는 기사에 쓰여 신문에 보도되고 독자들에게 전달된다. 처음엔 학보사 기자로서 감당해야 할 이 같은 무게와 책임들이 벅차게만 느껴졌다. 학교와 학생의 소통창구인 신문을 만듦에 있어 필자의 부주의로 인해 왜곡된 사실이 전달돼 불필요한 오해가 생기진 않을지, 취재가 부족해 사실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기사로 누군가에게 상처를 입히진 않을지 늘 불안했다. 날이 갈수록 줄어들긴커녕 켜켜이 쌓여가는 그런 걱정들은 때론 일상을 짓눌렀다. 구겨진 일상을 마주할 때마다 기자가 돼 기사를 작성하는 일이 얼마나 갑갑하고 힘든 일인지 절실히 체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대신문 사무실 한쪽에 남아 계속 글을 쓰는 이유는 간단하다. 이 일만큼 부족한 필자를 채워줄 수 있는 건 흔치 않기 때문이다. 남들 사는 이야기에 무관심했던 필자는 인터뷰이들을 만나며 그들의 얘기를 묻고, 듣고, 이해하고, 배워갈 때마다 또 다른 차원의 세상을 경험한다. 노인 돌봄 기사를 썼을 땐 방문 요양 서비스가 지원되는 단 4시간을 제외하곤 나머지 시간을 홀로 집에서 보내야 하는 돌봄 노인들의 하루를 알게 됐다. 또한 청년 특례 채무조정 관련 기사를 썼을 땐 부채 문제에 압도된 청년들이 얼마나 힘겨운 하루를 버티고 있는지 살펴보게 됐다.

기사를 작성하며 얻어가는 것들에서 나아가, 완성된 기사가 신문에 보도돼 학생사회를 조금이나마 움직일 수 있단 사실은 또 다른 의미를 준다. 학내 조명되지 못한 사건 사고를 다룬 기사로 인해 학생사회에 자그마한 변화가 포착되는 날에는 기분 좋은 뿌듯함과 성취감으로 빼곡히 메워진 하루를 경험한다. 갑작스러운 취업플랫폼 제휴 중단 소식으로 당황해했던 학생들의 이야기를 담은 기사가 나간 후 서비스가 재개됐단 내용의 후속 기사를 쓰게 된 적이 있다. 당시 필자가 쓴 기사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단 생각에 하루 종일 마음이 들떴던 것이 기억에 남는다.

주변 사람들은 걸핏하면 밤을 새워 기사를 퇴고하는 필자의 모습을 볼 때마다 그렇게 힘들어하면서 왜 그리 열심히 인지 묻곤 한다. 그러게 말이다. 지난 1년 학보사에 들어와 질리도록 기사를 쓰고도 왜 자꾸 일상에서 새로운 기삿거리는 없나 이리저리 들여다보게 되는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