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위원회] 언론의 본분-‘보도의 객관성’의 영역에서
[독자위원회] 언론의 본분-‘보도의 객관성’의 영역에서
  • 오정우<경영대 경영학부 17> 씨
  • 승인 2021.11.29
  • 호수 1540
  • 10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연 우리가 그렇게 하는 것이 올바른 일일까”

공동취재를 준비하던 얼마 전이었다. ‘재개발’과 관련된 기획 기사를 구상하던 우리는 우연한 계기로 노동 인권 단체와 만남을 가질 수 있었다. 인터뷰에 앞서 이런 저런 질문을 궁리하던 중 문득 한 팀원이 위와 같은 의문을 던졌다. 별안간 의표를 찌르는 듯했다. 확신에 가까운 어조로 줄곧 회의를 이끌던 나는 한동안 ‘기자의 방향성’에 대해 골몰했다. 전공 수업에서조차 ‘김용균법’, ‘야수 자본주의’ 등을 설파했던 나였기에, 어쩌면 기울어진 시각으로 사태를 바라보고 글을 쓰려했을지도 모르겠다는 두려움에 사로잡혔다. 취재를 마치며 그 때를 곱씹어보건대 당시의 반문에 사의를 표한다. 기자와 언론의 본분에 대해 다시금 정리할 수 있는 순간이었고, 덕분에 이 글의 들머리를 장식할 수 있게 되었으니까.

요컨대 나는 언론인이라면 ‘언론이 어느 정도의 경향성을 표현해도 되는가’에 대해 한차례 더 숙의해볼 필요가 있음을 우의적으로 표현한 셈이다. 특히 ‘언론중재법’ 통과 여부를 두고 공방을 벌이는 지금, 이 담론을 차제에 놓치면 영영 돌아올 수 없는 길목을 건널 것만 같다. 당연히 언론마다 오랫동안 견지한 관점이 있으며, 이를 굳이 숨기려 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객관적 사실 보도’에 해당하는 부문, 이른바 ‘보도’ 섹션에서 당위와 같은 사견을 표하는 문제는 구별돼야 한다. 가령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 대해 언론들은 자사의 기조에 따라 상이한 표제를 달거나 할당 면을 조정하고 관점에 부합하는 칼럼을 수록했다. 그러나 필자가 본 그 어떤 언론에서도 ‘칼럼’이 아닌 ‘보도’ 섹션만큼에선 형식상 당위적으로 일정한 방향을 유도하지 않았다.

이런 점에서 한대신문 1539호에서 한 가지 아쉬운 대목이 눈에 밟혔다. 결코 기사의 질이 떨어진다는 것은 아닌 것이, 2면의 학내 길고양이 문제는 오랫동안 논쟁이 되었기에 소재 선정이 탁월했다고 생각한다. 다만 세 번째 문단에서 시작된 “길고양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라는 구절이나 동일 기사의 마지막 문단은 ‘보도의 객관성’과 ‘사설의 주관성’, 둘 사이의 경계에 자리하고 있다는 생각이 스쳤다.

앞서 말했듯 현(現)레짐(Regime)의 언론은 팩트에 충실하면서도 동시에 다른 관점을 세심한 언어 표현으로  반영하는 데에 충실해야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학보사는 대세적인 모델에 맞서 전위적인 형태를 시도해볼 수 있고, 그에 따라 학부생에 입각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순기능이 있다. 한명의 학생으로서 필자 역시 이에 크게 긍정하는 편이다. 이를테면 동호 5면의 멍 때리기나 1538호의 해녀 체험 등의 취재기는 학보사만의 현장 밀착-체험형 기사가 가진 힘을 여실히 보여준다. 

하지만 여전히 ‘보도의 객관성’에 대해서는 주저할 수밖에 없다. 우리는 개인이자 동시에 언론인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개인이지만 동시에 언론인으로서 학보사를 애호하며 응원한다. 한대신문의 헌신에 항상 감사한 마음을 가지며 그들의 숭고한 땀방울에 이 글을 바치고 싶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